창업가 유형검사(ESTI)는 창업가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역량과 실체 창업 시 경영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실행역량을 분석하여 검사자의 강점역량 및 창업가 유형을 제시하는 검사입니다.
자아성장을 위해 필요한 성향과 관련된 창업가 역량을 현대 기업 HR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Big5 성격유형을 적용하여 제시합니다. 선천적인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강점파악을 통한 개발이 중요한 역량입니다.
| 요인명칭 | 요인설명 | 요인 Keyword |
|---|---|---|
개방성 (P) |
경험개방 및 자율 역량 (Openness to Experience) |
혁신적 |
성실성 (C) |
책임 및 효율역량 (Conscientiousness) |
논리적 |
외향성 (E) |
사회적 네트워킹 역량 (Extraversion) |
융합적 |
친화성 (A) |
조직순응 및 관계 역량 (Agreeableness) |
인화적 |
감내성 (M) |
인내 및 멘탈유지 역량 (Mental Stability) |
근성적 |
Start-up 기업들이 실제 역할 수행 시 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경험과 관련된 역량입니다. 후천적인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지식교육과 경험이 중요합니다.
| 요인명칭 | 요인설명 | 요인 Keyword |
|---|---|---|
시장전문성 (D) |
시장분석 및 적응 역량 (Domain Expertise) |
시장 |
기술전문성 (S) |
기술구현 및 개발 역량 (Solution Expertise) |
기술 |
운영전문성 (O) |
조직관리 및 운영역량 (Operation Expertise ) |
관리 |
Big 5 기초역량과 DSO 실행역량을 조합하면 15개의 창업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본인의 창업가 강점역량을 유형화하여 파악할 수 있습니다.
| 개방성(P) | 성실성(C) | 외향성(E) | 친화성(A) | 감내성(M) | 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시장전문(D) |
유형명 | 정글탐험형 | PM형 | 오지적응형 | Thank-you Letter형 | 오뚜기형 |
| 키워드 | 혁신적 시장전문가 | 논리적 시장전문가 | 융합적 시장전문가 | 인화적 시장전문가 | 근성적 시장전문가 | |
기술전문 (S) |
유형명 | 유레카형 | 발명가형 | 만물박사형 | 감성디자이너형 | 에디슨형 |
| 키워드 | 혁신적 기술전문가 | 논리적 기술전문가 | 융합적 기술전문가 | 인화적 기술전문가 | 근성적 기술전문가 | |
운영전문 (O) |
유형명 | 구글형 | 컨설턴트형 | Playing Coach형 | 소통리더형 | 칠전팔기형 |
| 키워드 | 혁신적 운영전문가 | 논리적 운영전문가 | 융합적 운영전문가 | 인화적 운영전문가 | 근성적 운영전문가 | |